모카포트를 처음 접하게 되면 다양한 방법으로 실패를 하게 될 수도 있습니다. 오히려 모카포트를 판매를 하는 사람이 겁을 주는 경우가 있을 수 있습니다. 모카포트의 개념 자체가 어느 정도 홈 카페에 관심이 있어서 조금은 정보를 찾아야지 알 수 있는 추출 도구이기도 하고, 이러한 주방 기구에 관한 정보를 알아보고 실 사용하는 비중이 높은 사람들 에게서 딱히 인지도가 엄청 높은 정도는 아니기 때문에 모카포트를 항상 다루는 이탈리아에서 자란 사람들과 우리나라 사람들 사이에서는 모카포트를 잘 모르는 경우가 있다 하더라도 이상 할 것은 전혀 없다고 생각됩니다.
하지만 고가의 에스프레소 기계와는 비교조차 할 수 없는 가격대를 형성하고 있고, 착한 가격에 에스프레소를 추출할 수 있는 모카포트는 다양한 음료를 만들어 낼 수 있기 때문에 부담 없이 홈카페를 즐기기에는 핸드드립과 비슷할 정도로 일등공신이라 말할 수 있을 것입니다.
최근, 어느 정도 사용할 가치가 있는 손으로 뽑아내는 휴대용 에스프레소 기계들이 출시가 되었습니다. 그러면서 커피의 추출 균일성이 조금 떨어지고 사용하기에 위험성도 조금은 갖고 있는 모카포트 자체가 상대적으로 가치가 떨어진 것이 아니냐는 주장이 나오고 있습니다. 오랜 전통을 가진 장비 특성상 마니아층이 두텁고 이탈리아라는 나라가 망하지 않는 이상 앞으로도 쭉 모카포트는 분명 이용이 될 것이지만, 에스프레소 추출 도구 자체로서의 효율에 의문을 품는 상황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모카포트는 여전히 에스프레소 추출 도구로서 착한 가격이 정말 장점이 될 수 있으며 휴대용 에스프레소 도구는 사람이 힘으로 추출을 하는 도구 이기 때문에 힘을 균일하게 가하기 어려운 만큼 숙달되기 전에는 오히려 커피의 품질이 균일하지 못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모카포트는 구성이 굉장히 단순하고 복잡한 기구들보다 설거지도 편하고 저렴한 가격에 유지비용이 거의 없기 때문에 힘을 들이지 않고 에스프레소를 추출하기에는 정말 적합한 도구입니다.
모카포트를 사용하는 방법
모카포트의 손잡이가 달려있고 추출되는 커피가 담기는 곳을 컨테이너라고 합니다. 커 테이너 아래의 고무 링을 개스킷. 분쇄 원두를 담는 곳을 바스켓. 아래 압력추가 있고 물을 담는 곳을 보일러라고 칭합니다.
분쇄 전의 원두를 15g 정도 바스켓에 평평하게 담아준 뒤에 양을 가늠하고 설탕 입자보다는 작고 밀가루보다는 굵은 정도로 분쇄해야 합니다. 담았던 원두를 모두 바스켓에 담아 막대 등을 이용하여 평평하게 해 준 뒤 물을 컨테이너의 H20표시선보다는 아래까지만 담아서 보일러에 옮겨 담아야 합니다. 약 50ml 정도면 적당합니다. 찬물을 넣는 것이 대부분이지만 찬물을 먼저 넣게 되면 물이 끓는 시간 동안 원두가 같이 직접가영 되게 되고, 좋지 않은 맛을 낼 수 있습니다. 바스켓을 보일러 속에 넣고 보일러와 컨테이너를 가능한 힘껏 돌려 잠가 줍니다. 가스레인지를 사용한다면 불의 세기는 보일러의 크기를 넘지 않도록 조절해 줍니다. 알루미늄의 모카포트 도구를 사용한다면 약 3분 20초 정도의 시간을 재고 끓여야 합니다. 혹시라도 시간이 지났음에도 추출이 되지 않았다면 불을 끄고 식힌 뒤에 커피 추출 상태를 꼭 확인해야 합니다. 모카포트 사용 시 기본은 꼭 추출할 때 그 자리를 뜨지 않고 지켜봐야 한다는 것입니다. 시간이 중요하기 때문입니다. 추출 직후의 모카포트 본체는 무척 뜨겁기 때문에 절대 바로 본체를 만지거나 테이블 위에 올려놓지 않도록 해야 합니다. 세척 후에는 모카포트를 모두 분리해서 건조하게 보관해야 합니다.
댓글